300x250

샴의 법칙
클로디아 샴이 개발한 경기침체 판단 지표이다.
샴의 법칙은 미국 실업률의 3개월 이동평균이 최근 12개월 실업률 최저점보다 0.5%p 이상 높으면 미국 경기침체가 매우 임박했다고 판단한다.

작년부터 꾸준하게 제기되어온 문제지만 지난 주 미국 경제 지표가 발표되었는데 전망치를 크게 하회하면서 시장에서 샴의 법칙이 다시금 부각되면서 시장의 분위기를 냉각시켰다.
샴의 법칙의 기본 개념
- 정의: 샴의 법칙에 따르면, 미국의 실업률 3개월 이동평균이 최근 12개월 실업률의 최저점보다 0.5%포인트 이상 높을 경우, 이는 경기침체가 임박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 수식화:
- 최근 3개월 평균 실업률 - 최근 12개월 실업률 최저점 ≥ 0.5%p
- 시사점: 이 법칙은 때로 경기침체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경고한다.
샴의 법칙의 적용 사례
- 최근 2023년 10월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실업률이 3.9%에 도달했는데, 이로 인해 샴의 법칙이 주목받게 되었다
- 그러나 최근 고용지표에서 다시 샴의 법칙이 맞을 수 있다는 담론이 형성되었다.
샴의 법칙이 틀리기 위한 조건
- 클라우디아 샴은 자신의 법칙이 틀릴 가능성도 있다고 언급했다. 그 조건은 노동공급의 증가로 인한 실업률 상승이다. 즉, 경제활동참가율이 높아지면서 실업률이 일시적으로 상승할 경우, 경기침체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샴의 법칙이 맞기 위한 조건
- 샴의 법칙이 유효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경제 회복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부정적인 피드백 루프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이는 실업률 상승이 소비 감소를 초래하고, 기업이 고용을 줄이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300x250
'주식 >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의 공포란? 경제 용어 알아보기 (0) | 2024.08.06 |
---|---|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 (0) | 2024.08.05 |
엔 캐리 트레이드란? 일본 금리와 글로벌 증시 흐름 (0) | 2024.08.04 |
CPI란? 경제 용어 알아보기 (0) | 2024.08.02 |
ISM 제조업 지수란? PMI 알아보기 (0) | 2024.08.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