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 암호화폐/블록체인 기초정보

스테이블 코인이란 무엇인가?

by 김덴트 2022. 4. 11.
300x250

스테이블 코인, 안정된 암호화폐

 

스테이블코인이란
스테이블코인도 세가지 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암호화폐의 경우 시세 변동폭이 커 거래 수단으로 가치를 논하기 다소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스테이블 코인은 기존에 존재하는 화폐나 실물 자산과 연동하여 가격 안정성을 보장해주는 암호화폐를 말한다.

스테이블 코인은 다시 세 분류의 코인으로 나뉜다.

 

1.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 코인

 

대표적인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 코인인 테더
스테이블 코인의 대명사, 테더
테더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후발주자로 나온 트루 usd

법정화폐와 일대일 관계로 유지되는 암호화폐로, 대표적인 스테이블 코인으로는 테더가 있다.

테더 토큰 1개의 가치는 미국 달러 1달러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코인을 발행하고 있다.

사용 방법도 간단하여 스테이블 코인을 운영 기관에 전달하여 법정화폐로 교환하면 된다. 정해진 환율에 따라 환전을 해주며 반대로 법정화폐를 암호화폐로 교환해주기도 하는데,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 가격 변동에 의한 손해가 적어지는 장점이 있다. 

단점은 운영기관이 자발적으로 토큰을 발행과 환전을 담당하며 예치금을 관리하다 보니 암호화폐의 취지인 투명성과는 거리가 먼 운영방식을 보여준다. 더군다나 운영기관이 법정화폐를 빼돌리거나 정책을 바꾸는 등 스테이블 코인의 가치가 폭락할 수 있다는 한계도 존재한다.

 

2. 암호화폐 담보 스테이블 코인

암호화폐 담보 스테이블 코인 다이
이더리움 담보 스테이블 코인 다이 - DAI

암호화폐 담보 스테이블 코인은 법정화폐에 가치를 연동하지 않고 일정량의 암호화폐를 담보로 맡긴 뒤 고정 비율에 따라 담보물에 해당되는 스테이블 코인을 블려쓰는 것이다.

운영 방식은 코인마다 다르며 대표적인 암호화폐 담보 스테이블 코인으로는 다이- DAI 가 유명하다. 다이의 경우 이더리움을 담보로 예치하면 다이 코인을 신규로 발행 할 수 있게 해준다. 대출 받은 다이를 다시 입금할 경우 담보로 맡겨 두었던 이더리움을 되찾아 갈 수 있는데 이때 대출 수수료를 지급하기 위해서 메이커 토큰을 사용한다.

암호화폐를 담보로 하였기 때문에 높은 변동성이 유지되는 것은 다소 위수운 점이라 하겠다.

 

3.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 코인( 무담보 스테이블 코인)

 

이쪽은 수요에 따라 공급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가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암호화폐이다. 대표적으로는 베이시스라는 프로젝트가 있으며 자산을 담보로 해두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담보가 없다는 점은 장점도 될 수 있으나 해당 스테이블 코인과 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있어야 하는데, 베이시스의 경우 알고리즘을 신뢰의 대상으로 내세운다는 점이 다소 껄끄럽게 느껴진다.

프로젝트가 실패하면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 코인 전반의 신뢰도에 금이 갈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어떻게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결과물이 나오는지에 따라 평가를 유보해야할 코인으로 보여진다.

 

이 스테이블 코인은 사람들의 수요로 인해 가격이 결정되는데 급변하는 수요를 얼마나 빠르게 반영하여 화폐량을 조절하는지, 사람들이 해당 스테이블 코인의 성장성에 대해 믿음이 떠나는 경우 가치 폭락이 오는 경우 어떻게 대응하느냐 등의 문제도 존재한다.

 

300x250

댓글


// STEP 1. NA 스크립트인 wcslog.js 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