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0x250

챗봇3

죽은 인터넷 이론 사실 우리가 소통하는 사람들은 사람이 아니라 봇이라면?죽은 인터넷 이론을 아는가?이전부터 용어는 있었지만 크게 대두된 적은 없었으나, 최근 인터넷과 IT 기술의 발전으로 죽은 인터넷 이론이 꽤나 자주 보이는 것을 느낀다.내용인즉슨 인터넷 이용자들은 대부분 봇으로 이루어져 있고 인터넷에 있는 컨텐츠 또한 사람이 생성한 것이 아니라 봇이 자동으로 만들었다는 것이다.인터넷이 죽었다고 하는 시기는 대략적으로 2016년부터 시작되고 본격적으로 인공지능이 우리 일상에 대두되면서 점점 강해지고 있다. 구글의 검색 기능도 예전 같지 않다많은 사람들이 체감하는 부분 중에 하나는 구글 검색이 예전같지 않다는 것이다. AI가 생성한 도메인을 실수로 클릭해서 들어가면 맥락없는 페이지가 뜨거나 아니면 도박페이지로 리다이렉트된다.. 2024. 5. 28.
우주항공 산업 공부를 인공지능을 통해 해보았다 우주항공 산업에 대해 처음부터 알아가기다음주는 우주항공청 개청이 있는 주간이다.슬슬 우주항공에 대해 공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서 찾아보다가 오랜만에 챗봇에게 물어보고 그걸 글로 남겨보고 싶어서 포스팅을 쓴다.우주 항공에 대해 가장 먼저 물어보고 싶었던 걸 먼저 물어보고, 이후로 질문을 이어나가는 식으로 구상하고, 모델은 클로드 3로 결정하고 질문을 시작했다.우주항공이 성장하기 위해 어떤 조건이 선결되어야 하는지 물어보았는데 클로드는 자본 투자와 기술력 확보, 품질관리와 신뢰성 확보, 국가 정책 지원을 예시로 들었다. 제법 타당한 근거들을 제시했고 나는 국가 정책 지원과 자본 투자를 바탕으로 다음 질문을 진행했다.원전 산업의 경우 민간 기업에서 추진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그래서 최근 인공지능 수요에 따.. 2024. 5. 25.
인공지능, 챗봇, 모아데이타 챗GPT로 촉발된 챗봇 관련주, 인공지능 시대 도래 요즘 참 인공지능, 챗봇 얘기가 자주 나온다. 챗GPT가 공개된 이후 40일만에 1000만명을 돌파했다는 얘기도 나오고 주식시장에서는 코난테크놀로지, 솔트룩스 같이 미칠듯이 급등하는 종목도 나오고 있는데.... 아마 나뿐만 아니라 구글에서 검색하다보면 이런 짜증나는 링크를 겪어본적이 있을 것이다. 챗GPT를 활용하여 트래픽이 유발될만한 글을 계속 만들어서 업로드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튜브에는 가이드까지 올라올 정도로 자동컨텐츠 페이지를 생성하는 블로그를 만들 수 있는데 여기에 악성코드가 들어갈 수도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요즘은 유튜브 영상까지 챗GPT로 만들고 있는데 돈맛을 본 사람들이 하나둘씩 늘어나기 시작하면 오픈AI로 만든 피싱사이트들이 지.. 2023. 2. 1.
300x250

// STEP 1. NA 스크립트인 wcslog.js 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