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산업에 투자하고 싶은데 ETF는 없습니까?
작년에 챗GPT가 공개된 이후로 사람들은 충격에 빠졌다. 특이점이 도래했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많아질 정도로 인공지능 산업은 점진적으로 발전하고 있고, 반도체 산업도 여기에 맞물려서 사이클이 빠르게 돌아왔다.
반도체 산업에 대한 투자와 인공지능 산업에 대한 투자는 필연적으로 교집합으로 묶이지만 핵심 키워드는 결국 인공지능이었다. 그래서 이번에는 인공지능 ETF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한다.
BOTZ, 인공지능 ETF의 대표주자
글로벌 엑스에서 운용하는 ETF로 운용 보수는 0.68%이다. 시총은 1.7조원이고 구성 종목들을 보면
엔비디아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여 일본 기업들, 미쯔비시 전기나 다이후쿠, 야스카와 전기, 화낙이 보인다. 야스카와 전기와 화낙은 일본에서 유명한 로봇 전문 업체.
ROBO, 국내 기업도 있네?
수수료는 0.95%로 다소 높은데 특이점이라고 하면 한국의 고영 테크놀로지가 포함되어 있다. 이외에도 아이로봇이나 다이후쿠가 포함되며
대부분 비슷한 비중으로 채워져 있다. 이쪽은 로봇에 좀 더 비중이 큰 느낌.
IRBO
블랙록에서 운용하는 ETF 브랜드인 아이셰어즈 네이밍이 붙어있는 ETF로 운용보수는 0.47%이다. 시총은 작지만 구성 종목을 보면
여기서도 빠지지 않는 엔비디아, ARM, 가와사키, 스포티파이, 퀄컴, 넷플릭스, 그리고 산업용 로봇으로 유명한 ABB가 보인다. 로봇과 인공지능이라는 컨셉으로 종목을 편성해서 그런지 투자자들이 보기에는 이게 인공지능이랑 로봇하고 무슨 관계가 있지? 하는 기업들도 보인다.
현재는 하드웨어가 주도하지만 향후에는 소프트웨어도 기대
최근 미 증시를 보면 어도비가 포토샵에 AI 기능을 탑재하면서 매출이 증가하였고 이에 주가도 급등한 적이 있다. 물론 최근에는 목표가 하향 리포트가 나오면서 생각보다 효용성에 의구심을 가지는 사람도 있겠지만 인공지능이 놀라운 성과를 보임과 동시에 실제로 현업에서 많은 연구와 적용이 되는 분야는 영상 매체이다. 프리미어에 AI를 탑재하게 되면 이것은 단순히 호기심으로 소비자들이 구독을 할 것 같지는 않고, 실제로 광고에 적용되면서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까지는 인공지능과 로봇 산업이 빅테크 기업이나 일부 공장에 적용되는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소프트웨어에서도 매출 증가가를 뒷받침할 수 있는 포인트로 시장에서 인식한다면 다음 인공지능 사이클에는 소프트웨어가 주도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인공지능과 로봇 산업을 공부할때는 이런 반도체와 로봇 업체들도 중요하지만 여기서 만든 로봇과 인공지능을 소비해주면서 함께 발전한 산업에 대해 고민하는 것이 현재 시점에선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kimdent/stockdent
김덴트의 오늘 수급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매일 매일 국내 주식 시장을 정리하고 수급을 토대로 시장을 복기함과 동시에 게임산업과 게임주식에 대한 인사이트도 함께 공유합니다.
contents.premium.naver.com
'주식 > 미국주식과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와 트레이딩의 절충안? QLD (0) | 2024.06.05 |
---|---|
레버리지 단타의 유혹, TQQQ와 SQQQ (0) | 2024.06.05 |
수 많은 사람들의 돈을 삭제시킨 ETF, SOXS (0) | 2024.06.04 |
미국 주식시장의 반도체 ETF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0) | 2024.06.04 |
S&P500으로 단타치기, 가능한가요? 레버리지 ETF (0) | 2024.06.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