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변동성이 극심해진 장세에서 안정적으로 주가 상승을 보여주고 있는 종목들이 있다. 음식료 제조와 유통을 업으로 삼는 기업과 의류 업계의 주가 상승이 눈에 띄는데, 이를 소비재라고 부른다. 오늘은 소비재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다.
인간의 욕망을 채우기 위하여 일상생활에서 직접 소비하는 재화를 가리키는데 소비자가 구입, 이용한다고 하여 소비자재로고 한다. 사람들의 생활에 즉시 사용되도록 완성된 것이며 사람들의 욕망을 채운다는 뜻에서 직접재, 완성재, 향락재라고도 하는데, 몇몇 재화중에서는 생산재에 포함되는 것들도 있다.(전기)
여기서 다시 편익(A/S)를 받는 기간에 따라서 내구재와 비내구재로 나누어진다.
편익의 기간에 따라 | 종류 |
내구재(1년 이상) | 자동차,가전,가구,통신기기 |
준내구재 | 의류,신발,가방 등 |
비내구재(일회성) | 서적,문구, 의약품,화장품,음식료,담배 |
이런 소비재의 지수를 추종하는 ETF도 있는데, 이전에 경기 민감주/경기 방어주 에서 다루었던 KODEX 경기소비재이다.
https://m.kodex.com/product_view.do?fId=2ETF79
미래에셋에서는 TIGER 경기방어 라는 ETF를 운용하고 있다. 시간이 날때 한번 이 두 ETF의 구성 종목들을 한번씩 비교해보는 것도 좋다.
https://www.tigeretf.com/npc/product/product.do?ksdFund=KR7139280002&fundTypeCode=01000300
가전제품을 만드는 엘지전자, 백화점을 운영하는 현대박화점, 롯데쇼핑, 의류 업체인 휠라홀딩스, 코웰패션등 다양하다.
현재 주가지수가 상방이 막힌채로 횡보하는 이유는 다양한 이유가 있으나 인플레에 대한 우려가 가장 크다고 볼 수 있다. 금리 상승과 원자재 가격의 상승은 이런 우려에 대한 근거가 되는데, 소비재/경기 방어주들은 이런 변동성 장세에서 포트폴리오 구성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에게 좋은 옵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주식 >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쇼티지란 무엇인가 (0) | 2021.07.06 |
---|---|
섹터란 무엇인가 (0) | 2021.06.19 |
회사채란?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 (1) | 2021.05.12 |
공매도에 대비하기 위해 알아야 할 용어, 대차잔고와 업틱룰 (0) | 2021.05.02 |
테이퍼링이란? (0) | 2021.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