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0x250

주식434

위험한 종목을 피해서 매매하는 방법 주식 투자/매매를 하면서 가장 고통스러운 순간은 내가 보유한 종목이 상장폐지가 되거나 거래정지가 되서 돈이 묶이는 순간일 것이다. 많은 종목들을 매매하다 보면 고수들도 피해 갈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한데 오늘은 이렇게 위험한 종목들을 가급적 최대한 피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얘기해 보고자 한다. 1,DART의 공시를 살펴볼 것 이중에도 특히 중요한 것은 감사인의 의견거절이나 부적정 의견,한정 의견으로 표명했을 경우 상장폐지의 조건에도 충족이 되기 때문에 기업에 대해서 꼼꼼히 분석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 공시에서 감사 의견을 보아야 한다. 2.매출액을 살펴볼 것. 매출액이 30억원 미만의 연간 매출을 기록한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며 2년 연속 30억 미만의 매출액이 지속될 경우 코스닥 시장에서 .. 2021. 2. 20.
주식 서적은 어디서 사는 게 좋을까? 요즘 주식이 유행이다 보니 자연스레 주식 서적들도 인기를 얻고 있다. 최근에는 주식투자 무작정 따라하기가 베스트셀러 매대에 걸려있는 것을 보았는데 나도 그 시점에 입문하여 소액으로나마 매매 연습을 하고 있다. 하지만 도서정가제로 인해 서적을 싼 가격에 구매하는 것은 사실상 법의 테두리 내에서는 아무리 커봐야 10% 내외의 할인폭밖에 되지 않아 부담이 갈 수 밖에 없다. 더군다나 요즘은 서적이 출간된지 몇년이 지나면 리커버나 개정판이라는 상술로 본래 발간 후 18개월이 지난 서적들은 정가를 조정할 수 있으나(개정 이전 법으로는 18개월이 지난 서적들은 할인폭이 자유로웠으나 그마저도 막았다.) 그냥 새로 출간하는 식으로 공급해버린다. 오늘 포스팅은 주식공부에 갈증이 있는 분들에게 최대한의 비용을 줄이면서 주.. 2021. 2. 18.
가격조정과 기간조정 주가는 항상 변한다.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오르는 날이 있으면 내려가는 날도 있다. 이를 이용해서 우리는 주식의 절대 불변의 진리인 '싸게 사서 비싸게 판다'를 노리는 것이다. 주가의 변동은 늘 파동을 만들면서 움직이게 되고 이 파동안에서 시세 변화는 참으로 변화무쌍한데 여기서 오는 조정을 크게 가격조정과 기간조정으로 나눈다. 가격조정 주가가 시간을 두고 하락하는 것을 말한다. 그것이 분봉상이든 일봉상이든 가격의 하락이 오는 것이 가격조정이라고 하는데 어느 정도 가격의 하락이 오다가 특정 구간에서 멈추는 것을 횡보라고 하고, 횡보 후 상승하는 것을 반등, 이러한 구간을 보고 눌림목이라고 부른다. 시세가 급격히 오른 종목들은 가격조정은 필연적이다. 물론 바이오주와 같이 임상에 성공했다는 뉴스가 뜨거나.. 2021. 2. 17.
공매도란? 앞서 몇일 전에 게임스탑 사건에 대해서 글을 쓴 적이 있었다. mackger.tistory.com/14 공매도와 게임스탑 29일 국내 주식시장 지수는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마감하였다. 특히 외인의 매수세가 계속 이어지는 모습이었는데 게임스탑에서 큰 이슈가 터진 것도 그 이유 중 하나였다. 게임스탑은 텍사스에 mackger.tistory.com 공매도(空賣渡), 영어로 숏 셀링(Short selling)혹은 숏이라고 한다. 최초로 실행된 곳은 1609년 네덜란드의 동인도 회사에서 시행되었다고 하며, 이와 관련된 헤지펀드들도 존재한다. 문자 그대로 없는 것을 판다는 의미로 주가하락이 예상되는 종목의 주식을 미리 빌려서 팔고 나중에 주가가 내려가면 싼값에 빌린 주신을 사서 갚는 형식으로 차익을 남기는 투자 방.. 2021. 2. 7.
300x250

// STEP 1. NA 스크립트인 wcslog.js 호출